 
    
    반응형 웹(response web)이란 하나의 html문서를 제작하여 pc, tablet, moblie 화면에서 최적화된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기술
반응형 웹에서는 1. 가변 크기 단위 2. 뷰포트 속성 3. 가로 해상도별 서식 적용을 위한 '미디어쿼리'속성이 사용됨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ivice-width, initial-scale=1.0"
사용자의 디바이스 화면 크기에 맞추어 웹문서를 100%로 보여 줄 수 있는 속성으로 PC보다 태블릿 모바일 사용자를 위해 필요함
웹문서의 상단 head에 작성(charset 밑에 작성)
name="viewport" : pc/tablet/mobile 디바이스 화면에 맞게 설정함
        width=device-width : 콘텐츠 내용을 pc/tablet/moblie 화면 너비와 일치시킴
        initial-scale=1 : 디바이스 화면에 1:1 비율로 보이게 함 (숫자 2 입력시 화면이 2배로 커짐,  1=100% 2=200%)
      
브라우저의 가로 너비(해상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가로 해상도에 따라 CSS를 적용하기위한 기술로서 반응형 웹페이지 제작시 필수 속성임
미디어쿼리 작성 시 각각의 디바이스별 해상도에 대해 이해 할 필요가 있는데, 
        모바일 : 0~767 / 태블릿: 768~1024 / PC : 1280~1920까지 해상도 영역을 설정하며, 이것을 break point(중단점)이라고 함
break point(중단점) : 0 ~ 320 ~ 480 ~ 768 ~ 960 ~ 1000 ~ 1200
          미디어 쿼리 작성법(띄어쓰기 주의)
        
          @media screen and (디바이스 가로해상도) {
            조건에 맞는 해상도일때 작용 할 CSS 서식;
          }
        
        
        /* pc화면 서식 */
        @media screen and (min-width:1025px) {
          .Mbox{background: #C0D8C0;}
        }
        
        /* 2. tablet 화면 서식 */
        @media screen and (min-width:768px) and (max-width:1024px) {
          .Mbox{background: #F5EEDC;}
        }
    
        /* 3. mobile 화면 서식 */
        @media screen and (max-width:767px){
          .Mbox{background:#ccc}
        }